컨텐츠 시작
Current Issue
-
[보도자료] 2023년 「올해의 최석정상」, 서울대학교 김종암 교수, KAIST 김재철AI대학원 예종철 교수, 고등과학원 김상현 교수 선정
2023.11.29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장관 이종호)와 대한수학회(회장 박종일)는 2023년 「올해의 최석정상」 수상자로 서울대학교 김종암 교수, KAIST 김재철AI대학원 예종철 교수, 고등과학원 김상현 교수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올해의 최석정상」은 조선시대 정치가이자 학자였던 최석정의 수학적 업적을 기리고자 2021년 신설되었으며, 수학, 수학의 활용(산업수학, 인공지능, 빅데이터 포함) 및 수학문화 확산에 기여한 과학기술인을 선정하여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1천만원을 수여한다. 먼저, 김종암 교수는 유체역학 계산분야의 여러 난제에 대해 수치해석을 활용한 폭넓은 연구를 수행하여 산업수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특히 수학적 이론과 물리적 모델링에 근거한 효율적 계산 알고리즘을 다수 개발하고 이를 상용화하여, 국내외 산업수학과 전산유체역학 분야 발전에 공헌하였다. 김종암 교수는 “전산유체역학 분야에서 수학적 이론에 기반한 알고리즘 개발과 활용은 중요한 부분이며, 수학계에서 이 부분에 많이 공감해주셨기에 수상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앞으로도 수학의 활용 범위를 넓히고 공학적 한계를 극복하는데 더 정진하겠다.”라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다음으로, 예종철 교수는 의료 인공지능 분야에서 국내 최고의 전문가로서 특히, 자기공명영상(MRI) 등에 상용화된 압축센싱이라는 전통적인 인공지능 기법에서부터 딥러닝 및 확산모델에 이르는 다양한 최신 인공지능 기술을 개척하고 의료분야에 적용하여 의료 인공지능의 선도적 발전과 수학 분야 딥러닝 보급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었다. 예종철 교수는 “인공지능 분야에서 심도깊은 연구를 지속하여 수학과 공학, 그리고 의료를 포함한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공헌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김상현 교수는 고등학생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다양한 주제에 대한 수학 대중강연을 약 10년간 지속적으로 진행하였고, ‘연속체 가설’, ‘리만가설’ 등 전문적인 현대수학의 다양한 주제들을 공중파 방송과 교양서적 ·칼럼 등을 통해 일반인에게 소개하는 등 국내 수학문화 확산에 크게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었다. 김상현 교수는 “존경하는 한국 수학자 최석정에 헌정하는 상을 받게 되어 대단히 영광스럽게 생각하며, ‘모르는 것에 대한 말은 아끼고 잘 아는 것에 대한 이야기는 더욱 솔직하게 나누는 자세’로 앞으로도 대중강연에서 많은 사람들과 배움을 나누고 싶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
[IMU] Heidelberg Laureate Forum 2024 안내
2023.11.27
회원님께, 안녕하십니까. IMU에서 “Heidelberg Laureate Forum 2024”를 2024년 9월 22일~27일 독일 하이델베르그에서 개최한다고 연락이 왔습니다. 상세 내용은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고, 회원님의 적극적인 참가 바랍니다. Dear colleagues The 11th Heidelberg Laureate Forum (HLF) will take place in Heidelberg, Germany between 22–27 September 2024. At the HLF, all winners of the Fields Medal, the Abel Prize, the ACM A.M. Turing Award, the Nevanlinna Prize/IMU Abacus Medal, and the ACM Prize in Computing are invited to attend. In addition, young and talented computer scientists and mathematicians are invited to apply for participation. The previous HLFs have been an exceptional success. The HLF serves as a great platform for interaction between the masters in the fields of mathematics and computer science and young talents. Over the course of the week-long conference, young researchers will be given the exclusive possibility to profoundly connect with their scientific role models and find out how the laureates made it to the top of their fields. As described by a young researcher, “Meeting the humans behind some of the most formidable inventions and discoveries of our time was phenomenal. What was unexpected, perhaps, was how warm and approachable these individuals turned out to be. I am grateful to have been given this opportunity, and to have shared it with peers who I hope to soon call colleagues, collaborators and friends." Applications for participation at the 11th HLF are open in three categories: Undergraduate/Pre-Master, Graduate PhD, and PostDocs. The application period for the 11th HLF runs from 9 November 2023 until 9 February 2024. Young researchers at all phases of their careers (Undergraduate/Pre-Master, Graduate PhD, or PostDocs) are encouraged to complete and submit their applications by 9 February (midnight CET). The IMU Adhering Organizations and national mathematical societies can also nominate young researchers. Nominated persons get “priority treatment”, but, since there may be too many nominations, they have no acceptance guarantee. You may use the code IMU75896 when registering. See the webpage https://application.heidelberg-laureate-forum.org for the online application and nomination forms. The deadline for application is 9 February 2024. For questions regarding requirements and the application process, please contact Young Researchers Relations at: yr@heidelberg-laureate-forum.org . All applications that are completed and submitted by the deadline are meticulously reviewed by an international committee of experts to ensure that only the most qualified candidates are invited. There are 100 spaces available for each discipline of mathematics and computer science. All applicants will be notified by the end of April 2024 whether or not they are invited. 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http://www.heidelberg-laureate-forum.org/ 감사합니다. 대한수학회
-
[보도자료] 2023년도 대한수학회 공로상, 학술상, 국내논문상, 상산젊은수학자상, 디아이 수학자상 수상자 발표, 2023년도 대한수학회 정기총회 및 가을 연구발표회 개최
2023.10.23
2023년도 대한수학회 공로상, 학술상, 국내논문상, 상산젊은수학자상, 디아이 수학자상 수상자 발표 2023년도 대한수학회 정기총회 및 가을 연구발표회 개최 ○ 대한수학회(회장 박종일, 현 서울대학교 교수)는 2023년 10월 26일(목)부터 28일(토)까지 서울대학교에서 “2023년도 대한수학회 정기총회 및 가을 연구발표회”를 개최한다. ○ 대한수학회는 2023년도 대한수학회 ‘공로상’, ‘학술상’, ‘국내논문상’, ‘상산젊은수학자상’, ‘디아이 수학자상’ 수상자를 발표하였다. 시상식은 대한수학회 가을 연구발표회가 열리는 서울대학교에서 10월 27일(금) 오후 6시에 개최할 예정이다. - 공로상: 김선자 교수(청운대학교), 이승훈 교수(유원대학교) - 학술상: 이용남 교수(카이스트/기초과학연구원) - 국내논문상: 김승일 교수(경희대학교), 김민규 교수(부산대학교)·오병권 교수(서울대학교) - 상산젊은수학자상: 강동엽 박사(기초과학연구원), 이은정 교수(충북대학교), 정민구 박사(고등과학원) - 디아이 수학자상*: 조철현 교수(서울대학교) * 디아이 수학자상은 한국 수학의 학문적 발전에 기여하거나 국내외적으로 수학계 위상을 높여 학계 발전에 기여한 자를 시상하기 위하여 2015년에 제정된 상으로, ㈜디아이(박원호 회장)의 후원으로 수여하는 상임. ○ 이번 연구발표회에서는 2022년 필즈상 수상자인 허준이 교수(한국 고등과학원 및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위고 뒤미닐-코팽 교수(Hugo Duminil-Copin, 스위스 제네바대학교 및 프랑스 고등과학연구소), 제임스 메이나드 교수(James Maynard,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Maryna Viazovska,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학)의 필즈상 수상자 강연이 온라인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그리고 확률론 분야를 선도하고 있는 이지운 교수(카이스트, 카이스트 확률 해석 및 응용 연구센터)의 기조강연과 대만의 쿠오-창 첸 교수(Kuo-Chang Chen, 대만 국립칭화대학교)의 특별초청강연이 진행될 예정이다. 이외에도 각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12명의 초청강연을 포함하여 총 238편의 논문이 발표될 예정이다. 한편, 건전한 학술생태계 구축과 질적으로 우수한 연구가 인정받는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수학분야 출판문화 건전성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하여 수학계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며, 청소년 및 일반 대중과 함께하는 수학 문화 프로그램으로 서인석 교수(서울대학교)의 대중강연 “주사위와 떠나는 여행”을 진행될 예정이다. 학술대회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https://www.kms.or.kr/conference/2023_fall/ 붙임 1. 2023년도 대한수학회상 수상자 업적 및 약력 2. 행사 공식 포스터, 대중강연 포스터
-
2024년 수학달력 구매안내
2023.10.20
대한수학회에서는 경남대 박부성 교수님께서 디자인 한 수학달력을 계약하여 매년 제작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수학에 대한 흥미를 고취시키고 알리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도록 관심있는 주변분들께 선물 또는 홍보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2024년 수학달력 정가: 12,000원 *아래의 이미지를 클릭하면 구매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대한수학회
-
[보도자료] ‘기초과학 학회협의체’ 정부의 기초 R&D 예산 삭감에 대한 성명서 발표 - 편견과 졸속으로 마련된 정부안으로는 미래를 견인할 수 없다 밝혀
2023.09.26
‘기초과학 학회협의체’ 정부의 기초 R&D 예산 삭감에 대한 성명서 발표 편견과 졸속으로 마련된 정부안으로는 미래를 견인할 수 없다 밝혀 □ 국내 기초과학 관련 학회의 협의체인 ‘기초과학 학회협의체(이하 기과협, 기과협 회장: 홍석륜 한국물리학회장 겸 세종대 물리천문학과 교수)’는 지난달 발표된 정부의 대대적인 기초 R&D 삭감안이 포함된 정부 R&D 제도혁신 방안에 대한 성명서를 발표하였다. 또한, ‘전국대학 기초과학연구소 연합회’와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도 이 성명서에 동참하였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월 22일 정부 R&D 제도혁신 방안과 2024년 국가 연구 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결과를 발표하였고, 그 결과는 어려운 여건과 힘든 시간 속에서도 연구에 매진하여 온 연구자들에게 큰 충격과 우려를 던져 주었다. 이에 기과협은 편견과 졸속으로는 과학이 미래로 발전해 나갈 수 없다는 절실한 우려와 함께, 정부 R&D 제도혁신 방안과 2024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결과에 대한 심각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 기과협은 정부R&D 제도혁신 방안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지적하였다. 첫째, 이번 발표 내용은 ‘자율과 창의로 만드는 담대한 미래’라는 국정목표 및 ‘R&D 예산을 정부 총지출의 5% 수준에서 유지’하겠다는 약속에 전혀 부합하지 않는다. 둘째, 정부 총지출이 증가했음에도 유독 R&D 예산만 큰 폭으로 삭감한 것은, 재정 운영 비효율성의 직접적인 책임이 있는 정부 스스로가 혁신하려는 노력 대신에 과학기술 R&D에 그 책임을 떠넘기고자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이번 발표는 정부와 과학기술계 사이의 신뢰와 과학기술인의 자부심에 큰 타격을 주었고, 예산 삭감의 최대 피해자가 대학원생과 포스닥 등 학문후속세대라는 점은 또다시 과학기술인의 위상 추락으로 인한 이공계 기피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과학기술 패권 경쟁에서 인재 양성만이 유일한 희망인 대한민국에게는 치명타가 될 것이다. 넷째, 교육과 연구와 관련된 정책은 오랜 숙의를 거친, 예측 가능한 제도 운영이 중요한데, 졸속으로 만들어진 정부의 R&D 제도혁신의 기본 철학과 전략으로는 장기적인 국가발전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 이러한 문제를 바로잡기 위하여 기과협은 아래 사항을 요구했다. 추진된 정부 R&D 제도혁신 방안과 국가 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 조정을 원점에서 재고 미래를 짊어질 과학기술인의 자부심을 높이기 위한 진정성 있는 비전과 실질적인 육성 전략의 제시 기간 지속적인 노력으로 구축된 건전한 연구생태계를 무너뜨릴 수 있는 일방적인 연구지원체계의 변경 지양 의견이 아니라 상식 있는 모든 과학기술인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그 의견을 담아 정책 입안 과정에 반영 □ 취재 관련 문의연락처: 이메일 (office@kps.or.kr), 전화 (02-556-4737)
-
2024 한국국제교류재단(KF) 글로벌 펠로 공모 안내
2023.12.07
-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24-1차 수리과학 분야 과제접수 안내
2023.11.24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24-1차 수리과학 분야 과제접수 안내 아래와 같이 연구 과제를 접수 받고 있으니 많은 관심과 응모 바랍니다 □ 분야: 기존에 본인이 계속하던 주제에서 약간 벗어난 새롭고 도전적인 주제로 지원해 주시기 바랍니다. - 중요한 수학 문제를 해결하는 순수수학 - 수학적 모델링 및 분석을 통해 산업적/기술적 이슈를 해결하는 응용수학 - 수학 내 또는 다른 학문과의 융합을 통한 문제 해결 또는 새로운 이론을 정립하는 융합 분야 □ 자격 ※ 연구책임자, 참여연구원 모두 국내 기관 소속에 한함 - 대학 교원(전임, 비전임), 대학 부설연구소 연구원 - 공공 연구기관 연구원 - 기업 부설연구소 연구원(대기업 계열 제외) ※ https://www.rnd.or.kr/user/infoservice/search5.do □ 예산 및 기간 - 연구 범위 및 연구진 구성에 따라 예산과 기간(~5년)을 합리적으로 제안 □ 접수 방법 - 홈페이지(http://www.samsungstf.org)에서 회원 가입 후 2 Page 제안서 접수 - 자격, 양식 등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참조 □ 심사 절차 - 서면심사(2 page 제안서), 서면심사 통과 과제는 이후 국내 발표심사/해외 서면심사 진행 - 발표심사 대상 과제는 20 Page 영문 계획서 작성(계획서 작성 기간이 짧으니 일정 감안 필요) □ 접수/심사 일정 ※발표심사 일정은 변경될 수 있으며, 홈페이지 참조 - 접수 : ~ '24.1.12(금) 10:00 - 서면심사 결과 발표 : '24.1.26(금) 예정 - 연구계획서 접수: ~’24.2.9(금) 17:00 *서면결과 발표 후 계획서 작성 기한이 촉박하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발표심사: '24.2.19~2.29일 사이 예정 * zoom을 이용한 온라인 진행 - 선정자 발표: '24.4.12(금) 예정 □ 기타 - 산업 문제를 해결하는 응용수학 연구의 경우 ICT 분야로도 지원 가능 -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는 선정자의 제안서 샘플은 참조만 하고 제안 내용을 잘 설득할 수 있는 본인만의 차별화된 제안서 작성 필요 - 제안서 표준 양식에는 주요 영문용어는 한글과 병기하여 작성으로 되어 있으나 전문 영문 용어는 무리하게 한글로 바꾸지 말고 영어로만 표현 ㆍ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고 있고 심사 위원들이 제안서를 읽는데 더 어려움을 겪고 있음 ㆍ대분포이론(large deviation principle) → large deviation principle, 불균형상태(non-equilibrium) → non-equilibrium 상태 □ 문의처 - 수리과학 PD, 02-597-0401(내선2번), topgun.kim@samsung.com
-
건전한 학술생태계 구축을 위한 캠페인
2023.08.04
올바른 학술지 선택, 연구자 경력관리의 첫걸음! <부실의심 학술지 이용 예방 교육 자료 내려 받기> 동영상 파일(NRF 유튜브 채널) https://youtu.be/U0P5ZI0zphg 텍스트 파일(연구윤리정보포털) https://www.cre.re.kr 출판윤리/부실학술지 전용게시판
-
[한국연구재단] 부실의심 학술지 출판 예방법 동영상 배포 안내
2023.06.14
한국연구재단은 건전한 학술생태계 구축을 위한 캠페인의 하나로 부실의심학술지 출판 예방법(동영상)을 제작하여 연구기관에 배포하오니 많은 관심과 활용 부탁드립니다. 동영상 배포 개요 가. 제작목적 : 부실의심 학술지 출판 예방 및 건전한 학술활동 제고 나. 활용방법 ○ 공동활용 : 연구윤리교육포털 - https://lms.cre.re.kr 접속 [열린광장-공지사항 참조] ※ 최신 웹브라우저로 접속 권고 ○ 활용절차 : 기관별 공동활용 신청 → 동영상 다운로드 → LMS 탑재 등 동영상 활용 다. 권고사항 ○ 대학 등 연구기관 내 연구윤리 교육 및 학술단체의 학술대회 등 개최 시 사전교육 영상으로 활용 ○ 활용조건 : 비상업/저작자표시/무편집 라. 문 의 : 한국연구재단 윤리정책팀(042-869-6649)
-
[한국연구재단] 「부실의심 또는 약탈적 학술지 이용 예방」 교육자료 발간 안내
2023.05.04
한국연구재단은 건전한 학술생태계 구축을 위한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부실의심 또는 약탈적 학술지 이용 예방을 위한 교육자료 발간을 안내드리오니 많은 활용 부탁드립니다. (한국연구재단 연구윤리정보포털 https://www.cre.re.kr 에서 다운가능)
-
이향숙 교수(이화여대), 2023년도 제72회 서울특별시 문화상 수상
2023.11.29
이향숙 교수(이화여자대학교)가 서울특별시의 제72회 서울특별시 문화상 학술부문 (자연과학분야)를 수상하였다. 시상식은 10월 20일(금) 서울시청에서 열렸다. 서울특별시는 학술분야(인문사회분야, 자연과학분야), 문학분야 등 14개 분야에서 문화 발전 및 진흥에 기여한 공적이 큰 시민(단체)를 대상으로 문화상을 수여하고 있다. 이향숙 교수는 암호분야 전문가로서 겹선형기반 공개키 암호 연구에서 효율적이고 최적화된 계산 알고리즘 개발로 후속 연구에 큰 영향을 주었고, 4차 산업혁명시대 AI, 빅데이터 등의 기술 개발에 활용되는 수학의 역할과 산업적 지평을 확대하며 ‘산업수학’ 육성 및 활성화 정책을 추진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
허준이 교수, 김명호 교수, 오세진 교수, 박의용 교수, 최경수 교수, The 1st International Congress of Basic Science의 Frontiers of Science Awards 수상
2023.11.29
2023년 7월 16일부터 7월 28일까지 중국 베이징에서 The 1st International Congress of Basic Science (이하 ICBS)가 열렸다. ICBS는 수학, 이론물리학, 이론컴퓨터 및 정보과학 등 세 가지 기초과학 분야에 초점을 맞춘 세계적 규모의 국제대회로 올해가 첫 번째 행사이다. 이 행사에서 시상하는 두 가지 상 중 Frontiers of Science Awards상은 수학, 이론물리학, 이론컴퓨터 및 정보과학의 34개 분야에서 지난 5년 동안 학문적으로 중요한 업적을 낸 논문에 주어지는 상이다. 이 상에 허준이 교수, 김명호 교수, 오세진 교수, 박의용 교수, 최경수 교수의 논문이 수상 논문으로 선정되어 한국 수학의 역량을 보여주었다. 행사와 수상자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행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icbs.cn/en/web/index/) <Mathematics - Combinatorics, Discrete Geometry, and Graph theory> Paper title: Hodge theory for combinatorial geometries Journal: Annals of Mathematics (2018) Authors: Karim Adiprasito (Hebrew University), June Huh (Princeton University), Eric Katz (Ohio State University) <Mathematics - Homological Algebra, K-Theory and Noncommutative Algebra> Paper title: Monoidal categorification and quantum affine algebras Journal: Compositio Mathematica (2018) Authors: Masaki Kashiwara (Kyoto University), Myungho Kim (Kyung Hee University), Se-Jin Oh (Ewha womans university & Sungkyunkwan University), Euiyong Park (University of Seoul) <Mathematics - Geometric Analysis> Paper title: Ancient low-entropy flows mean-convex neighborhoods, and uniqueness Journal: Acta Mathematica (2022) Authors: Kyeongsu Choi (Korea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Robert Haslhofer (University of Toronto), Or Hershkovits (Hebrew University)
-
이상욱 교수(숭실대), 제33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수상
2023.11.29
이상욱 교수(숭실대학교)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에서 시행하는 2023년 제33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수상논문은 2022년 『대한수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Mathematical Society』 59 (2)호에 게재된 “Ring isomorphisms between closed strings via homological mirror symmetry”라는 사교기하학과 복소기하학 사이의 미러 대칭 성질에 관련된 연구논문(구체적으로는 Hochschildcohomology of its Fukaya category와 Hochschild cohomology of the matrix factorization의 미러 관계)으로 매우 우수한 심사평을 받았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에서는 1991년부터 매년 창의적인 연구 활동을 통해 우수한 논문을 발표한 과학기술자를 학회의 추천을 받아 선정·시상하여 연구 의욕과 사기를 높이고, 연구 분위기 제고와 과학기술 수준 향상 및 선진화에 기여하고 있다.
-
[보도] [한국연구재단 웹진] 최고의 연구를 위한 투명성과 신뢰성 보장: 부실학술지로부터 연구자들을 보호하는 방안 (박종일 대한수학회장)
2023.08.18